서버리스 프레임워크를 고려중이라면 다음 몇가지 사항들을 고려해보면 좋을 것 같아 글을 남긴다. 서버리스 프레임워크는 분명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툴이지만 적절한 환경에 맞게끔 쓰는게 중요하다.
이식성
serverless framework는 aws 이외에도 azure나 gcp에서도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다. 이외에도 사용가능한 플랫폼은 다양하다.
호환성
AWS Lambda
테스트
테스트하기 편하다고 보긴 어렵다. 서버리스 프레임워크를 테스트 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는
Scalability 측면
AWS에서 사용하다보면 두가지 문제를 직면하게된다. AWS로 배포시 CloudFormation에 스택을 생성하는데 이 때 생성가능한 리소스 개수에 제한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 플러그인을 적용하면 손쉽게 해결이 가능하다.
이후 서버리스 프레임워크를 이용 여러 리소스들을 계속 추가하다 보면 또다른 문제로 IamRoleStatement의 최대 길이 제한으로 인해 배포가 안되는 때가 생긴다.(대략 54개 이상의 리소스 생성시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다음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손쉽게 해결이 가능해진다.
serverless.yaml